재하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균열의 각도는

꼭 45도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균열각도의 가정은 재하하중의 크기, 설계법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초기 전단균열 각도 : 45도

     극한강도 설계법에서 초기에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할 때의 균열의 각도는

     재하방향의 45도로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있습다.

 

     Vu가 (1/6)√(fck)bd를 초과하는 경우가 될 것입니다.

     콘크리트의 전단강도 Vc 가 이 값입니다.

 

     초과할 경우 전단철근을 유효춤(d)의 1/2 간격으로 배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간 방향길이 d 이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철근이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전단철근의 간격을 d로 하면 전단철근과 전단철근 사이에서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단보강효과가 없을 것입니다.

 

2. 재하하중이 Vc의 2배가 되는 경우 : 22.5도

     Vu가 (1/3)√(fck)bd를 초과하는 경우가 됩니다.

 

     설계기준에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만, 기준의 규정으로 유추해보면

     Vu가 Vc의 2배가 되면 균열의 각도는 하중의 재하방향의 22.5도 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경우는 전단철근의 배치간격을 유효춤의 1/4의 간격으로

     이내로 배치하여 작아진 균열각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2. 재하하중이 Vc의5배가 되는 경우 : 0도

     Vu가 (5/6)√(fck)bd를 초과하는 경우가 됩니다.

 

   이때는 전단 균열이 수직으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리 전단철근을 보강하더라도 효과가 없다는 것입니다.

   전단철근과 전단철근의 사이로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기준에서 제시되는 식을 균열각도와 연관시켜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조금 무리하기 비약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있습니다.

 

보의 설계시 보테이블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Vu가 Vc를 초과할 경우는 전단철근을 보춤의 1/2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은 잘 하고 있습니다만,

Vu가 Vc의 2배를 초과할 경우는 유효춤의 1/4간격으로 배치해야하는 규정은 의외로

무시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제가 만든 보테이블프로그램에서 이 조항에 대해서는 검토를 하고

있기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BeST 프로그램의 보테이블 모듈에서는

Vu가 Vc의 2배를 초과할 경우에 대해서 설계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이전의 프로그램으로 설계한 프로젝트에

문제가 발생하여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용자도 있었습니다.

 

 

참고로

한계상태설계법을 사용하고 있는 BS기준 등에서는

초기균열각도를 철근이 있을 경우 30도로 보고 있습니다.

위험단면의 위치를 지지단에서 1.5d거리에 해당됩니다.

이 값은 철근의 존재 유무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뚫림전단의 위험단면은 0.75d 입니다.

이 값은 어디서 본 값이죠?

 

아마 파괴상태로 설계하기 때문에 균열의 더 멀리까지 퍼져나가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일부는 이 문제를 간과하고

극한강도법에서 사용하는 45도를 사용하여 한계상태 설계법으로 계산하거나

극한강도법으로 설계하면서 30도로 계산되어진 식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앞뒤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다른 프로그램과의 연동이 않되는 경우 file 박종배 2017-11-22 14977
공지 Excel/CAD파일의 생성이 않되는 경우 file [1] 박종배 2017-11-22 4733
공지 윈도우 사용자 계정권한 변경하는 방법 file 박종배 2017-11-16 3934
공지 BeST프로그램 폰트 표시 오류에 대한 해결방법 file 박종배 2016-09-30 2416
공지 Windows에서 BeST프로그램의 실행이 안될때 - 사용자 계정 컨트롤 file 박종배 2010-08-27 25974
80 대종빌딩의 문제를 보고... file 박종배 2018-12-26 1923
79 철근비를 사용한 벽체 설계방법의 문제 박종배 2018-12-11 1930
78 KS 탄소강의 종류와 특징 file 박종배 2018-06-24 1951
77 공진은 무서워? file 박종배 2018-01-30 1970
76 벽체 배근에서 D19@450과 D10@112의 차이 박종배 2018-12-11 2018
75 '한국 건축기술 집약체' 롯데월드타워의 불편한 진실 file 박종배 2016-04-19 2021
74 구조해석시 Dummy 요소의 사용 박종배 2015-06-03 2034
73 밥 먹으러 가서의 멍청한 행위 27가지 [건다운] [1] 박종배 2014-07-11 2072
72 지하수압에 대한 하중계수 [1] 박종배 2016-01-17 2131
71 벽체 면외방향 좌굴을 검토해야 할까요? 박종배 2017-10-17 2233
70 행정규칙(훈령, 예규 등) 효력 박종배 2019-06-27 2286
69 탄소섬유판(CFRP Strip)을 사용하여 보강을 할 경우 박종배 2013-09-23 2295
68 2방향슬래브 설계에서 모멘트 계수법 [1] 박종배 2014-12-17 2312
67 구조용 강재의 재료 file [1] 박종배 2015-10-13 2534
66 지하외벽 설계알고리즘 박종배 2014-06-09 2595
65 합성부재설계의 기본개념 박종배 2019-10-28 2645
64 기둥에서 철근의 강도 Fy=600이 Fy=500보다 내력이 작게 될 수 있습니다 file 박종배 2018-10-18 2818
63 안전진단시에 사용하는 강도감소계수에 대하여 박종배 2013-09-02 2833
62 슬래브 설계시 경간(Span)은 전체경간을 사용해야 합니다 박종배 2017-09-21 2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