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전에 설계한 구조물의 설계변경이 있어서 변경후 PURLIN 검토중에,
최신버전의 BeST 로 검토하다 보니, 이전 설계시 OK 되던 부분들이 NG가 발생하였습니다.
하중, 및 지지점이 달라지지 않았기에, INPUT에서 문제가 되는것이 아닌, OUTPUT에서 그 차이를 확인해보니
정압방향(건물외측에서 건물내측으로) 발생할 모멘트의 부호가 (-)로 되면서 비지지 길이가 달라지니
저항 모멘트가 급격히 줄어들어서 NG가 발생하더군요.
가령 WuX1은 1.4DL, 즉 DEAD LOAD만으로 검토하므로, 하중은 정압방향으로 가해짐에도 불구하고
한단연속이 되는 지점에서 부모멘트 -2.57 을 보고 비지지 길이를 부압방향 비지지 길이를 적용하여
저항모멘트가 20.37->7.27로 적용되는 것으로 OUTPUT이 나오고 있습니다.
INPUT란에는 정압방향 하중에 의한 비지지길이를 INPUT하게 되어 있는데,
모멘트의 값에 따라 부압방향 하중에 의한 비지지 길이를 적용하는게 이상합니다.
이전까지도 잘 쓰던게 갑자기 이렇게 값이 출력되는 당황스럽네요.
이부분에 대한 설명을 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Purlin설계 모듈에서
양단고정, 한단지지한단핀인 경우의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단면력의 최대값의 위치를 변경하였습니다.
따라서 위의 조건에 따른 최대 모멘트의 위치가
중앙부에서 단부로 변경됩니다.
각 지지조건별
비지지 길이를 정확히 입력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